본문 바로가기
  • Contact Us

탁류청론 교수들의 건강칼럼

  • TOTAL : 19  [Page: 1/2]
풍요 속 수면 빈곤: 수면제 오해와 멜라토닌의 재발견
   풍요 속 수면 빈곤: 수면제 오해와 멜라토닌의 재발견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조 용 혁     #1. 수면에 대한 관심의 증가 인류는 역사상 유례없는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지만 수면만큼은 예외적으로 만성 부족 상태에 놓여 있다. 여러 전문가들은 성인에게 7시간 이상의 수면을 권장하지만,..
관리자 | 2025-07-14
건망증인가 치매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건망증인가 치매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문 소 영        “어제는 왜 냉장고 문을 열었더라?”, “방금 들은 이름이 뭐였지?”  누구나 일상 속에서 작은 기억의 오류를 경험합니다. 바쁜 일상, 스트레스, 수면 부족 속에서 순..
관리자 | 2025-05-15
보청기를 끼고 싶어 하지 않는 부모를 위한 조언
보청기를 끼고 싶어 하지 않는 부모를 위한 조언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정 연 훈       한국은 24년도 현재, 65세 이상 연령층이 총인구의 19.2%로 ‘고령사회(aged society)’에 해당하며, 2026년도에는 20%가 넘어가 초고령사회(post-..
관리자 | 2024-10-15
왜 모기가 나만 물지?
 왜 모기가 나만 물지?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양 영 철     모기에 관한 이야기는 과거 공룡을 흡혈했던 중생대 쥐라기 시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세계적으로 2,500여 종의 모기가 기록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모기 종은 55종으로 알려져 있는 데 산업의 발달과 환경의 변화 등으로 모기 ..
관리자 | 2024-08-27
특별 기고: 의사들이 아프다
※이번 76호 탁류청론 '교수들의 건강칼럼' 코너는 [특별기고: 의사들이 아프다] 로 대체됩니다.   의과대학 호흡기내과학교실 신 승 수     대통령이 의사들에 대단히 화가 났다. 주 1회씩 정기적으로 방문하던 대통령 주치의까지 일 있으면 부를 테니 이제부터는 오지 말라고 했다는데, 의사란 사..
관리자 | 2024-05-21
유산균을 많이 먹으면 건강해지나요?
  의과대학 소화기내과학교실 이 광 재     유산균이 만병통치약이나 불로초는 아니기 때문에 단순히 유산균을 많이 먹는다고 건강해지지는 아닐 것이다. 이 세상에는 수많은 질환과 수많은 병균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들이 관리가 잘 되어야 할 것이다. 대표적으로 정..
관리자 | 2023-12-18
비아그라의 변천사
의과대학 비뇨의학과 최 종 보     성기능장애에 대한 치료는 비아그라 사용전과 사용후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비아그라와 같은 경구용 약물이 없던 시절에는 마땅한 약물 치료가 없어 주사제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주로 사용하였는데 그 부작용과 비용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비아그라가 널리 사용된 이후에는 일단 비..
관리자 | 2023-09-19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송 승 일     중국의 고전 <서경> <홍범편>에 오복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오복이란 인생에서 바람직하게 여겨지는 다섯가지 복을 의미하는데 오래 사는 것, 부유하게 사는 것, 건강하게 사는 것, 덕을 베푸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깨끗하게 죽는 것을 포함한다. 반면에 민간에..
관리자 | 2023-07-07
적당히 살찌는 게 건강한가?
의과대학 내분비대사내과학교실 김대중     비만의 지표로 쓰는 체질량지수라는 게 있다.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170cm, 70kg이라면 70/(1.7*1.7)=24.2 kg/m2 이다. 벨기에 수학자 Lambert Quetelet이라는 분이 1832년 Quetelet index를 만들었다...
관리자 | 2023-05-04
간은 하나인데 신장은 왜 두개인가?
의과대학 신장내과학교실 김 흥 수      우선 아래 글은 위 제목으로 원고를 탁류청론 편집실로부터 부탁 받고 쓴 것이라는 것을 미리 밝혀 두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왜냐하면 제가 참 궁금한 것이 많은 사람인 데 솔직히 이 질문은 신장내과 교수 30년 동안 제가 한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는 (막 64세가 ..
관리자 | 2023-02-01